2020. 10. 26. 11:59ㆍ유튜브 클론 코딩
유튜브 클론 코딩을 마무리하는 과정 중이었다.
배포할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rm은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이 아니라고 나온다.
??
그럼 다른 사람들은 rm을 어떻게 쓴거지 ㅋㅋ
구글갓에게 물어보니 rm을 쓰기 위해 환경변수 설정을 해줘야 한다고 해서 똑같이 따라했다.
그래도 여전히 rm은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이 아니라고 한다.
노마드 코더 슬랙에 있는 Kangdyu님에게 개인질문을 해보니 rm은 리눅스 전용이라 윈도우 전용 실행명령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띠용?!
ㅋㅋㅋㅋ
너무 부끄러웠다.
rm이 뭐하는 건지도 모르고 쓰려고 하니 윈도우에서 쓰는지 맥에서 쓰는지 당연히 모르지....
다시 구글에서 윈도우에서 rm -rf와 같은 명령어가 무엇인지 검색하니...
https://qastack.kr/superuser/204406/whats-the-equivalent-to-rm-rf-with-windows-command
Windows 명령에서 'rm -rf'와 동일한 기능은 무엇입니까?
qastack.kr
rmdir /s /q Or rd /s /q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heroku에 배포하게 되면 heroku는 리눅스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윈도우 전용명령어인 rmdir /s /q를 알아먹지 못합니다.
배포되었을 때 환경을 바로 눈앞에서 보고 싶다면 rmdir /s /q를 사용해서 브라우저에 띄워서 확인해보면 되고
그게 아니라 heroku에 배포를 하고 싶다면 다시 rm -rf로 바꿔서 실행시켜줘야 배포가 가능하다.
만약 그렇지 않고 윈도우 명령어로 배포하게 되면
다시 rd를 못알아 먹게 된다 ㅋㅋㅋㅋ
'유튜브 클론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클론 코딩 마지막 그리고 후기 (0) | 2020.10.29 |
---|---|
comment / reply 한 번에 컨트롤하기(2) (0) | 2020.10.15 |
comment / reply 한 번에 컨트롤하기(1) (0) | 2020.10.14 |
response rendering을 두 번 하면 어떻게 되는가? (0) | 2020.10.14 |
Pug: mixin을 무시하면 생기는 일(Frontend: axios / Backend: populate) (0) | 2020.10.13 |